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도시구성요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수도권지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중심으로/The Effe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Climate Change - Focused on Emission of Carbon Diox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저자명 권수현(Kwon, Soo-hyun) ; 김승원(Kim, Seung-won) ; 강준모(Kang jun-m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
페이지 pp.117~134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구성요소 ; 이산화탄소 배출량 ; 기후변화 Urban Characteristics ; Emission of Carbon Dioxide ; Climate Change
요약1 본 연구는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주범이 이산화탄소임이 공식 선언됨에 따라 도시구성요소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도시계획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2002년과 2008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산업, 상업공공, 수송부문은 증가한 반면 가정과 농업부문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2년과 2008년을 비교한 결과 2008년에 상업 및 공업지역 밀도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1인당 차량등록수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정책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도권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 중부지역은 상업공공부문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이며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 남부지역에서 가정, 농업, 산업, 수송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뚜렷한 배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요약2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bon dioxide i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suggests urban planning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omponents and the carbon dioxide affecting climate change. First,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in 2002 and in 2008 were categorized as 5 sectors. As results, carbon dioxide emission in industrial sector,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and transportation sector increased whereas that in household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decreased.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components in 2002 and in 2008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in 2008, the effec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 per person increased, indic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environment. Third, the sector-specific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classified in 5 metropolitan areas and then analyzed. As results, in central area,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produced the most carbon dioxide; in western,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area, household, agricultur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produced more carbon dioxide than central area. These results evidently indicate area-specific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necess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measur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