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인천 남구 숭의동 지역을 중심으로/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in an Inner-city Neighborhood - Focused on the Sungui-dong Area, Nam-gu, Incheon
저자명 전영미(Jeon, Youngmee) ; 김세훈(Kim, Saeh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
페이지 pp.83~100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쇠퇴 ; 빈집 ; 구시가지 Urban Decline ; Housing Abandonment ; Inner-city Neighborhood
요약1 본 연구는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구시가지를 대상으로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을 미시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도시설계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천 남구 숭의동을 연구 대상지로 선택하였으며, 정성적인 연구방법론을 통해 도시쇠퇴와 빈집 사이의 메커니즘을 이론적 틀로 정리하고, 빈집의 분포현황과 특성,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숭의동에는 총 80개의 빈집이 4개의 클러스터에 집중 분포되어 있었으며, 각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이 빈집 발생 양상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폐쇄적 블록, 협소한 가로, 소규모 필지 등의 열악한 물리적 환경은 재정비촉진지구의 해제, 사회취약계층의 공간적 집중과 결합되어 빈집의 확산으로 연결되었다. 그리고 빈집 인근 공적영역의 유지관리 여부가 추가적인 쇠퇴진행 및 쇠퇴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더불어 거주위치 및 거주특성에 따라 주민들이 빈집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하는데 있어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쇠퇴도시 내 빈집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추후 빈집현상의 도시공간적 특성 분석, 빈집 인근 공적영역의 유지관리 방안 마련, 빈집 관련 주민인식ㆍ행태 파악 등이 요구된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t a micro level and draws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in a declining inner-city neighborhood of Sungui-dong, Nam-gu, Incheon. This study creates a theoretical frame that explains a mechanism between urban decline and housing abandonment and identifi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ausality of housing abandonment, applying a qualitative method. Eighty abandoned houses in Sungui-dong are distributed intensively in the four clusters. The analysis shows that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of each cluster serve as driving forces, which influence the pattern of housing abandonment. The cluster with a poor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narrow streets and small parcels, likely attracts redevelopment’s cancelation and entices concentration of socially-vulnerable populations, leading to proliferation of abandoned houses. Public area maintenance surrounding abandoned house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further decline. Also, residents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housing abandon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ir locations. In further studies, it is required to analyze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t micro level, to prepare for a public area maintenance plan, and to identify residents’ recognition and behavior.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