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서울시 생활권별 공공시설의 공급 불균형 분석/역세권을 중심으로/Imbalance Analysis of Public Facilities Supply in 5 Urban Communities ofSeoul: - Focusing on Transit Centers
저자명 홍미영(Hong, Mi Young) ; 이제원(Lee, Jea Won) ; 김학진(Kim, Hak J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5(통권 제71호)
페이지 pp.161~176
ISSN 15980650
주제어 공공시설 ; 역세권 ; 5개 생활권역 Public Facilities ; Transit Center ; 5 Urban Communities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 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 중 어린이집, 도서관, 공공체육시설이 어떠 한 불균형적 공급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 그에 따른 공급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 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역세권을 생활권 5대권역ㆍ토지이용(주거ㆍ비주거중심)ㆍ범위(1ㆍ2 차 역세권)로 구분하여 서울시 역세권내 도시공공시설 공급특성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른 유형별 공급방안 및 공급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도심권은 대체적으로 모 든 역세권 유형에서 공공시설 공급 현황이 양호하였고 동북권은 1차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공시설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권은 대체적으로 모든 역세권 유형에서 공공시설 공급이 부 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남권은 비주거 중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서북권은 주거중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공시설 공급부족현상을 보였다. 각 권역별로 상이한 공급 실태를 보임을 감안할 때,권역별 차별화된 공급방안을 통하여 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필요 공급량 확보전략이 공공서비스 지원 및 대중교통 중심의 공간이용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proportionat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facilities supply such as daycare center, library, public sports complex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of the facility capac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ategorized Seoul Metropolitan Area in accordance with 5 geological communities, 2 zones as residential / non-residential and 1st/2nd degree of distance from subway s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upply of the public facilities in the downtown area were generally good in all types of public facility and Dong-buk (North-East) community showed some lack of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primary station area. Dong-nam (South-East) community was lacking in all types of public facility. Seo-nam (South-West) area was showing some shortage of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major station area in residential area and Seo-buk (North-West) community was lacking in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major station in the business area. Considering the different situation in supplying of public facilities in each community, it is recommended to secure the specific supply strategy of public facilities per community, associat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transit centers to enhance the public service and make TOD spac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