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국내 ‘마을 만들기’ 연구동향과 ‘사람’에 중점을 둔 연구의 특성 분석/A Review of Research Trends of ‘Maeul-mandeulgi’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Focused on ‘Human Beings’
저자명 정석(Jeong, Seok) ; 김택규(Kim, Taek-Gyu)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5(통권 제71호)
페이지 pp.123~148
ISSN 15980650
주제어 마을 만들기 ; 연구동향 ; 사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Maeul-mandeulgi ; Research Trend ; Human Being ; Korea Citation Index(KCI)
요약1 ‘마을 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요즘 “마을 만들기 연구는 어떻게 전개되고 있고,그 중 사람에 중점을 둔 연구는 많을까?” 라는 질문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국내마을 만들기 관련 연구가 언제 시작되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특히‘사람’에 중점을 둔 연구들의 연구대상과 관점 및 연구방법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4년까지 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11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과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 만들기 연구는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2007년과 2011년을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회적인 흐름과 깊은 관련이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마을 만들기 연구 중에 ‘사람’에 초점을 둔 연구가 최근에 많이 증가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람’에 중점을 둔 마을 만들기 연구의 특성을 보면, 참여주체들 가운데 주민(주민조직)을 연구한 논문이 많았고, 참여주체의 역할이나 인식을 다룬 정태적 연구들이많은 반면 참여주체들 간의 관계나 공동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한 ‘동태적’ 연구는 많지 않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요약2 These days, interest in ‘Maeul-mandeulgi’ is growing significantly. ‘How is the research of Maeul-mandeulgi going?’ and ‘How much is the research about human beings?’ These questions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how research on Maeul-mandeulgi started and how it has unfolded, particularly in so far as how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human beings’, andto analyze in depth the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viewpoint. For this purpose, 117 paper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4 were chronologically analyzed in terms of basic information and research cont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having begun in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articles on ‘Maeul-mandeulgi’ has increased between 2007 and 2011, due to social factors. Furthermore, studies focused on ‘human beings’ have recently increased. Secondly, many studies that focused on ‘human beings’ concentrated on the residents(residents’ associations) among the participants. and dynamic studies of topic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were comparatively fewer than static stud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