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수중구조체를 활용한 도시수변공원의 설계 방안/부산 원도심과 영도구의 도시환경사업지구를 중심으로/Urban Waterfront Park Design Strategies Using a Marine Structure System - Focused on Busan Downtown Area and Youngdo Urban Redevelopment District
저자명 황재호(Hwang, Jaeho) ; 김영민(Kim, Youngm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5(통권 제71호)
페이지 pp.89~108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수변공간 ; 수변공원 ; 도시재생 ; 수중구조체 ; 부산 ; 항구재개발 Urban Waterfront ; Waterfront Park ; Urban Regeneration ; Marine Structure ; Busan ;Harbor Redevelopment
요약1 본 연구는 육역에 제한되지 않고 수역까지를 포함한 도시 수변공간개발 방식을 제안한다. 수중구조체를 활용하여 수역에 수변공간을 조성할시 토지 사용과 관련된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어 상부에 큰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공공공간으로서 활용한다면 새로운 형태의 수변 도시의 개발이 가능하다. 선행연구와 해외의 사례, 그리고 국내의 법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을 때 우리나라에서도 적용 가능한 방식이다. 수역에 수변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수중구조체의 유형은 매립식,유각식, 부유식, 캔틸레버식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대상지의 조건과 공간의 목적에 따라적합한 수중구조체는 달라진다. 부산 원도심 일대의 수변공간에 수중구조체를 활용한 도시수변공간을 계획한 결과 육역의 개발과 연계한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우선 수역으로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기존의 도시 시설과 연계한 새로운 공적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네 가지 수중구조체를 조합하여 공간을 조성할 때 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적 형태를 제안할 수 있으며, 수중구조체를 활용한 수질정화나 해양생태계 복원 등 친환경적 수변공간 조성의 방식의 탐색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안은 많은 가능성도 지니고 있지만 구조물 설치가 어려운 대상지에서는 적용할수 없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현실적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충분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요약2 The research proposes a new urban waterfront development strategy that involves the surface of the water as well as dry land. Constructing a waterfront on the water using marine structures can save the cost of land purchase, especially in the case of building a waterfront for public use. Through an examination of literature, precedents, and legal conditions, we find that developing a waterfront on the water is a realistic alternative for Korea. Marine structur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fill, Pier, Floating, and Cantilever. The most suitable structure type for constructing waterfront varies based on site conditions and objectives. Applying the new waterfront development strategies on a site in Busan, various potentials are discovered by expanding the inland waterfront to the water. A variety of programs and spatial design are proposed by combining the four types of marine structures.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water purification devices or porous concrete blocks into marine structures, the scheme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 Although the design proposal suggested in the research presents great potential for developing a new type of urban waterfront, the suggested method can be applied only under limited site conditions. Further studies and data is required to fully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