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서울시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의 형성과 변화에 따른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The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According to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in Seoul
저자명 김영욱(Kim, Young-Ook) ; 신행우(Shin, Haeng-Woo) ; 김민수(Kim, Min-Su)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5(통권 제71호)
페이지 pp.45~58
ISSN 15980650
주제어 저소득층 주거지 ; 무허가 불량주거지 ; 판자촌 ; 집단이주정착지 ; 신발생 무허가 정착지 Shantytown ; Squatter Settlement ; Green House Village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전쟁 이후 집단 무허가 불량주거지의 형성 과정과 배경을 조사ㆍ분석하고, 주거지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는 발생 배경과 주거지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가 가능하다. 첫째는 한국전쟁 이후기존 주거지 또는 하천변 등에 자생적으로 발생한 초기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이며, 둘째, 집단 이주 정착지 사업 등에 의해 발생한 집단 이주 정착지이다. 마지막 신발생 무허가 정착지는집단이주 정착지 등 기존 무허가 주거지가 해체되면서 발생한 주거지로, 국ㆍ공유지를 점유했으며, 민간인 소유 토지를 점유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서울의 집단무허가 불량 주거지들의 형성과 변화를 추적하고, 현존하는 주거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을 통해과거와 현재까지의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를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 의가 있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formation and change in shanty towns. Shanty towns in Seoul are investigated in detail. The results shows that we can categorize shanty towns according to their formation background, location,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First generation shanty towns were located near existing residential areas or by streams after Korean War. Second generation shanty towns appeared through the re-location of large populations to shanty towns occupying hillsides in the outskirts of citi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owns had a grid-like spatial network. Since the 1980’s, ‘new forms of shanty towns’ have existed. They appeared through the destruction of second generation shanty towns, and they were located on public property as well as in private propert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shanty towns by broadening the research scope and not necessarily being confine to a certain period or are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