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동네 가게의 사회 기능과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 해방촌의 소규모 판매점을 중심으로/Changes of Social Functions and Roles of Neighborhood Small Shops - A Case Study of Hae-bang-chon in Seoul
저자명 배선혜(Bae, Sun-Hye) ; 박소현(Park, So-Hy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6 n.3(통권 제69호)
페이지 pp.21~36
ISSN 1598-0650
주제어 동네가게 ; 사회 활동 ; 사회기능과 역할 ; 커뮤니티 구심점 ; 동네 생활기반시설 ; 골목 상권 Neighborhood Small Shop ; Social Activities ; Social Function and Role ; Community Hub ; Neighborhood Facility ; Local Businesses
요약1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동네나 골목에서 중요한 장소로 지목되어 왔던 소규모 판매점의 사회기능과 역할을 공동체간 사회 활동의 변화와 가게 주인의 생애사를 매개로 조망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핵심 자료는 현장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이북 실향민을 중심으로 한 지연(地緣) 공동체를 포함하여 외국인이나 대안적 삶을 지향하는 젋은이들과 같은 다양한 공동체가 구축되어 있는 서울 해방촌의 소규모 판매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연구 결과, 해방촌 가게의 사회기능과 역할은 두 가지 측면에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가게의 근린 내 사회활동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은 약화되었다. 그렇지만 가게는 여전히 새로운 구성원이 공동체로 접근할 수 있는 커뮤니티 게이트로 작동하고 있으며 구성원에게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근린 내 여러 가지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지원하던 해방촌 가게는 단순 소매상점으로 그 기능을 단순화하면서부터 복합 생활거점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네 가게는 근린 내 사회, 경제적 약자들의 상품 선택과 접근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정 구성원들에게는 여전히 중요한 공공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요약2 This study is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the social functions and roles of the neighborhood small shops in Hae-bang-chon. Employing basic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ools such a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study attempts to illustrate the new, additional social activities that the small shops carry out besides the old on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roles of small stores as a ‘hub’ for social interactions and fostering community activities in the neighborhood have been remarkably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stores were still being used as a community gate for thenewcomers and as a place to offer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Second, roles of shops a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of the neighborhood have also been weakened. However, small stores serve a particularly valuable role in meeting the needs of disadvantaged groups of elderly and disabled consumers. In other words, they support selections of goods for the community and provide accessibility within reach. Also, the elderly groups have been using the store as a public place to make contact with commun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