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가로유형별 물리적 환경특성과 보행량간의 연관성 분석/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저자명 이정우(Lee, Jeongwoo) ; 김혜영(Kim, Hyeyoung) ; 전철민(Jun, Chulm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2(통권 제68호)
페이지 pp.123~140
ISSN 1598-0650
주제어 유동인구조사 ; 보행 ; 복합토지이용 ; 가로유형 ; 군집분석 Pedestrian Flow Survey ; Walking ; Mixed Land Use ; Street Types ; Cluster Analysis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변화패턴 분석을 통해 서울시 내 가로유형을 세분화하고 가로유형별 보행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도시공간구조나 토지이용에 따른 공간적 분류를 기반으로 보행권을 구분한 데 반하여 본 연구는 요일별 시간대별 유동인구의 흐름을 기반으로 실제 인구가 움직이고 집중되는 가로의 위계적 중요도를 토대로 가로를 유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결과 서울의 가로는 업무위주 상업가로, 주거위주 상업혼재가로, 상업위주 업무복합가로, 주거위주 산업ㆍ업무혼재가로, 그리고 공동주택위주 상업ㆍ업무혼재가로의 5개 유형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가로유형별 보행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보행량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계획요소들이 가로 유형별로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업무위주 상업가로구역의 경우 대중교통 접근성과 보차분리유무가 보행량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상업위주 업무복합 가로구역의 경우 가로체계 및 보행편의성과 관련 된 변수들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주거밀도가 높은 가로구역의 경우 가로의 물적 환경을 이 루는 가로체계보다도 저층부 용도나 토지이용 혼합도 특성이 보행량에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가로의 유형과 유형별 보행환경요인 분 석은 추후 신시가지 개발이나 재개발을 통한 보행환경 조성 시 계획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treets in Seoul and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While most studies have categorized pedestrian areas based on land use patterns or urban spatial structure, this study categorizes streets by pedestrian fl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ime of day and day of week via a cluster analysis. It then identifies a relationship between actual patterns of pedestrian flow and land-use distributions. The results find that Seoul’s streets can be categorized into office-centered commercial streets, residential-centered commercial-mixed streets, commercial-centered office-mixed streets, residential-centered manufacturing-and-office-mixed streets, and multifamily-housing-centered commercial-and-office-mixed streets. The study investigates key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volumes using regression models and finds that the factors which increase pedestrian volume differ by type of street. A large number of pedestrians were observed in an office-centered commercial street with grea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sidewalks that blocked car traffic. One key to increased walking in commercial-centered office-mixed streets was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 facilities and street configuration, whereas factors that had greater impacts on pedestrian volumes in residential-centered streets were land-use mix and building use at street level.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