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마곡중앙공원 기본계획과 현대도시공원으로서의 의의/The Basic Plan for Magok Central Park and its Significance as a Modern Urban Park
저자명 박훈(Park, H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2(통권 제68호)
페이지 pp.105~122
ISSN 1598-0650
주제어 마곡 중앙공원 ; 대규모 도시공원 ; 보타닉공원 ; 식물원 ; 호수공원 Magok Central Park ; Large Urban Park ; Botanic Park ; Botanic Garden ; Lake Park
요약1 마곡중앙공원 조성계획은 기존 마곡워터프론트 계획이 백지화 된 이후 다양한 논의를 거쳐 보타닉가든으로 방향성이 결정되었으며,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되는 새로운 타입의 도시공원으로 방향이 제시되었다. 마곡이 가지고 있는 지형적 특성과 역사적 의의, 그리고 도시공간에서의 입지특성은 공원조성을 위한 기본 철학과 조성원칙으로 발전하였으며, 공간계획으로 구체화 되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식물원, 호수공원, 열린숲공원, 생태천이원 등 4개의 존으로 영역화하여 세부공간계획으로 구체화 된다. 특히 식물원 부분은 핵심적인 공간으로 약 128,000㎡의 규모로 조성되어 새로운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도시공원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호수와 잔디마당은 도시민들이 쉴 수 있는 여가의 공간으로 조성될 것이다. 또한 마곡중앙공원은 내ㆍ외적 성장의 개념을 바탕으로 조성될 것이며, 100년의 시간을 통해 성장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종합적인 계획은 기존 선행하여 연구되었던 현대공원설계의 특성에서 제안한 여섯 가지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약2 After the Magok Waterfront Plan was annulled, discussions led to the decision to develop Magok Central Park as a botanical garden. It was proposed that the botanical garden and park be combined to create a new type of city park.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Magok and the location’s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eveloped into a basic philosophy and a composition principle for a park design and then shaped into a spatial plan. The concept divides the space into four zones, including a botanical garden, a lake park, an open forest park, and an ecological succession area, which are given shape through a detailed spatial plan. The botanical garden, in particular, as a core space that occupies 128,000㎡, is expected to become a new attraction. A lake and a lawn in the city park will become a leisure area where citizens can relax. Moreover, Magok Central Park will be built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nal and external growth, and it will grow over 100 years. It was identified that this comprehensive plan is closely related to six strategies for modern park design as delineated in existing stud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