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도시규모와 사회 질(Social Quality) 지표가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Urban Size and Social Quality on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저자명 안용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4(통권 제64호)
페이지 pp.153~164
ISSN 15980650
주제어 건강도시 ; 여성친화도시 ; 도시규모 ; 사회 질 지표 ;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 순서형 로짓모형 Healthy Community ; Female-friendly Environment ; Urban Size ; Social Quality Index ; Women's self-rated Health Status ; Ordered Logit Model
요약1 본 연구는 도시규모와 사회 질 지표가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건강도시와 여성친화도시 개념을 연계한 공간적 정책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모형은 여성가족패널조사와 전국 230개 지자체별 사회 질 지표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주요 설명변수는 개인/가구특성과 거주지 사회/공간 환경특성을 반영한 사회 질 (제도역량/시민역량/건전성) 지표로 구성되었다. 순서화 된 종속변수의 이산성 및 다항 선택성을 고려하고 설명변수의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순서형 로짓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회 질 지표 모두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사회 질 지표가 여성 건강에 미친 영향은 도시규모에 상관없이 일관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과 하위지표의 영향정도는 도시규모별로 차별화 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사회 질 관련 지표 중 건전성 지표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친화도시의 구체적인 성능지표로서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증진하기 위해서는 도시규모의 차이를 고려하고 건전성 지표(범죄 등 사회안전망) 향상에 초점을 둔 공간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요약2 This study describes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healthy communities and female-friendly environments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urban size and social quality on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in Korea. An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by combining disaggregat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nd aggregate data, including the Census and Social Quality Index. Explanatory variables consisted of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s (soundness, citizenship, and system). To quantify the specific roles of such factors, I applied an ordered logit model to address the nature of ordered responses: multiple, discrete choices. As a result, I found that urban size and social qu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ated women's health. While three indicators for social quality consistently and positively affect women regardless of urban size, both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mpact differ with urban size. Notab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soundness is higher than others. To effectively enhance self-rated health of women, policy priority should be given to improving the level of social security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urban siz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