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공동주택단지 실외놀이환경을 주제로 한 어린이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hildren's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on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저자명 김아연 ; 조한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4(통권 제64호)
페이지 pp.121~139
ISSN 15980650
주제어 프로젝트 기반 수업 ; 유아교육 ; 아파트 단지 ; 놀이터 설계 Project-based Instruc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 Apartment Complex ; Playground Design
요약1 어린이의 발달에 있어 주거환경과 어린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지배적인 주거유형이 아파트로 변화하고 있지만, 성인 중심의 단지계획 관행 속에서 어린이들을 주거환경 계획의 주체로 인정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의 입주자 그룹 중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주거 및 놀이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인지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의 환경에 대한 인지가 일반적인 공간에서 구체적인 장소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성격의 오픈스페이스가 연계되고 구조화되어있지 않은 열린 공간을 선호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생활환경 속의 놀이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은 유아들에게 다양하고 균형있는 발달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동주택단지 전체를 어린이의 관점에서 재조명해야하며 시설물 위주의 어린이 놀이터에 대한 중대한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린이들은 더 이상 환경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지하고 재구성하는 능동적 이용자이자 생산자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거단지 내의 생활환경을 직접 디자인하는 참여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성인으로 자라는 과정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과 커뮤니티의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요약2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is very important in thei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ildren are the foremost user group in apartment complexes, but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stakeholders in planning and managing their own environments. Through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ith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children perceive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he changes they want to make.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in terms of the cognitive changes about their neighborhood, their preferred spaces,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participation. Findings from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have two implications: a planning and design aspect and a pedagogical aspect. The engagement in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can help children empower themselves as significant users and constructors of the environment. The design experiences can also help children recover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home and neighborhood in their childhood, and provide a platform on which to form individual identities as well as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