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역사·문화를 고려한 특화가로의 이용후 평가(P.O.E)에 관한 연구/서울 사대문안 정동길, 인사동길을 중심으로/A Study about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Considering Historic·Culture Visting Road - Focused on Jungdong Road and Insadong Road
저자명 강은진 ; 김기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4(통권 제64호)
페이지 pp.5~19
ISSN 15980650
주제어 역사문화탐방로 ; 정동길 ; 인사동길 ; 이용 후 평가 Historic·Culture Visiting Road ; Jeongdong-gil ; Insadong-gil ; Post Occupancy Evaluation
요약1 이 연구는 '역사·문화탐방로'로 조성된 정동길과 인사동길을 대상으로 보행환경의 물리적 요소에 대하여 이용후 평가(P.O.E)의 방법을 통해 보행환경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동길은 대중교통 접근성, 건축물용도, 오픈스페이스, 역사적 건축물 활용, 역사문화유적 터 표석으로 나타났고, 인사동길은 건축물용도, 가로수, 자동차로부터 안전, 깃발배너, 소형화장실 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가로환경개선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동길은 휴지통, 교통약자지원시설, 역사·문화유적 표석설치, 안내표지판, 가로등, 분수대 등 10개 요소로 나타났고, 인사동길은 건축물 용도, 휴지통, 오픈스페이스, 역사적 건축물 활용, 소형화장실, 가로수, 옛 물길 재현, 인사동 텃밭 등 13개의 요소로 나타났다.
요약2 This study focuses on two 'Historic·culture visiting road' areas of Seoul; Jeongdong-gil and Insadong-g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 of these areas via a survey of passersby using an assessment method called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ay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Fir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affect overall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factors in Jeondong-gil were the following; access to mass transportation, building use, open space, utility of historical architecture, and historic and culture monuments site. The factors in Insadong-gil were; building use, urban trees, safety from passing cars, flag banner, and public washroom. Secondly, IP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factors in Jeongdong-gil were; refuse receptacle, facilities for accessible people with disability, historic and culture monuments site, signage, illumination, a fountain etc. The factors in Insadong-gil were; building use, refuse receptacle, open space, utility of historical architecture, public washroom, urban trees, reproduction of old waterways, street-side plants etc.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