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장소성 측정 형용사를 통한 서울시 대표 장소의 장소성 유형 분류/A Type Classification of Representative Places' Sense of Place in Seoul through the Adjective Indexs for Measuring the Sense of Place
저자명 권윤구 ; 임승빈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3(통권 제62호)
페이지 pp.135~150
ISSN 15980650
주제어 장소성 ; 장소성 유형 분류 ; 장소성형용사 ; 다차원척도분석 ; 군집분석 Sense of Place ; Classification of the Sense of Place ; Adjective of the Sense of Place ;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 Cluster Analysis
요약1 최근 도시개발 패러다임은 인간사이의 사회적, 문화적 교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장소만들기에 집중하고 있으며, 장소만들기에 있어 도시민의 평가는 중요한 요소로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장소만들기를 위하여 장소에서의 인간을 고려한 환경계획 및 설계이론인 장소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효율적인 처리 및 정량화된 계획기준에 의한 도시공간의 획일화는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획일화를 방지하고자 장소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소성 유형을 도시민의 이미지 평가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41곳의 대표 장소의 장소성 유형은 9가지로 구분되었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장소의 물리적,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상징성', '자연성', '문화성', '유행성', '일상성', '비일상성', '다양성', '전통성', '현대성'으로 명칭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장소성 유형은 추후 서울시의 다양한 장소의 특징(Characteristic), 가독성(Legibility)과 다양성(Diversity)을 형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요약2 Recently, the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has concentrated attention upon placemaking that vitalizes human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in a place. Accordingly, citizen's evaluation is dealt with an important factor in placemaking.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many lively discussions about theories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considered a human-being in a place, such as the sense of place. However the urban places are still unified continuously because of the antiquated planning and design methods considered only the efficient and quantitative planning guidelines. So,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types of representative places? sense of place in Seoul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place for preventing the monotonous place. In order to determine the types of sense of place, citizen's quantitative image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ty-one representative places in Seoul are classified into nine types of sense of place, and then the types are named by considering their physical landscape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symbolic', 'naturality', 'sense of culture', 'fashionableness', 'dailiness', 'sense of extraordinary', 'diversity', 'historicity' and 'modernity'. The results are possibly useful base data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placemaking in order to create the place's characteristic, legibility and diversity in Seoul.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