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구시 읍성지역 역사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기본방향/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Historic-Cultural Heritages in Daegu Eupseong
저자명 김철영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3(통권 제62호)
페이지 pp.47~60
ISSN 15980650
주제어 대구 읍성 ; 역사문화유산 ; 역사문화보전 Daegu Eupseong ;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 Historic/Cultural Preservation
요약1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역사문화유산을 단순히 보존의 대상이 아닌 보전과 활용을 통해 지역, 나아가서는 도시 활성화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역사문화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개발과 보존이라는 시대적 갈등 속에서 대구시 읍성지역의 역사문화유산도 하루가 다르게 다양한 모습들로 바뀌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2004년에 역사문화유산의 목록화 사업을 시작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들을 해당지자체를 중심으로 주도적으로 시행해오고 있으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연구는 대구 읍성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역사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는 역사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주변지역과 인접한 건물들 간의 도시적인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둘째는 이미 추진된 사업들과 신규 사업들 간의 네트워크화가 필요하다는 것, 셋째는 역사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유지,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단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 등 이었다.
요약2 Increasing interest in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has provided both planners and people with perception that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bases of urban revitalization through their adaptive reuse, not ones that are simply preserved as it is. Based on changing percep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preservation over time, Daegu eupseong ('Town Wall') has constantly transformed its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To meet these changing demands, the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has conducted several projects related to historic and cultural preservation ? such as categorizing historic and cultural assets of Daegu in 2004. As a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focuses on drawing implications of historic/cultural preservation and adaptive reuse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and a case study of current historic and cultural assets in Daegu eupseo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l planning and development contexts of buildings and areas near the historic site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two goals of its preservation and adaptive reuse. Second, newly proposed historic/cultural preservation projects should be linked with one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Finally, systematic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to preserve and maintain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