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생활권 개념을 적용한 주거성능 평가모형/An Evaluation Model for Residential Performances with the Concept of living area, Neighborhood
저자명 이응현 ; 오덕성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2(통권 제62호)
페이지 pp.113~128
ISSN 15980650
주제어 생활권 ; 주거성능 ; 평가모형 ;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방법 Neighborhood ; Residential Performance ; Evaluation Model ; ANP
요약1 본 연구는 주거단지의 노후나 성능저하의 문제를 단지 내 건축물의 물리적 주택 성능으로 한정하고 있는 평가범위에서 벗어나 도시적 관점에서 거주민의 생활권을 범위로 하는 주거성능 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호 및 주동, 단지, 생활권 영역에 대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적합성 검정 및 가중치 적용을 통해 13개 평가속성, 45개 평가항목을 갖는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평가모형의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과 ANP 및 AHP분석을 통해 속성별,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주거환경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존 노후도 및 성능평가에서 제시하고 있던 주호 공간이나 주거단지 내 시설물에 대한 물리적 노후 문제뿐만 아니라 근린생활권의 다양한 도시기능의 확보와 이용편의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와 달리 사회경제 및 환경변화로 주민생활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주거성능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주택성능에서 주거성능으로 확장되어가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 및 주거단지 구현을 위해서는 주택성능은 물론, 생활권 차원에서의 주거환경 성능이 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해 주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요약2 This paper presents the resid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living area (neighborhood) of the residents from urban perspectives, which are beyond the limits to the physical performance of buildings in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ging and degradation of buildings.. We have reviewed the properties and developed a weight system for suite, building, complex and living area, and then devised an evaluation model made up of 13 evaluation properties and 45 assessment questionnaires. The property and questionnaire weights were derived by expert survey and ANP & AHP analysis. We verify that a lot of urban functions of neighborhood living area and ease-of-use are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formance as well as on physical aging of facilities within suite or residential complex, provided by the existing aging or performance evaluation. Unlike the past, the life of residents were changed due to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equirements of residents revealed that the factors for quality of residential performance are expanding from housing performance to residential performance. It show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formance of living area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complex as well as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complex in order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city or residential complex.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