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활성화된 해변카페거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부산시 '마린시티', '광안리', '달맞이길'의 해변카페거리를 사례로/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italized Seaside Cafe Streets - With Case Study on Seaside Cafe Streets of 'Marine-city', 'Gwangan-ri' and 'Dalmaji-gil' in Busan City
저자명 최강림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페이지 pp.151~166
ISSN 15980650
주제어 해변카페거리 ; 수변상업가로 ; 물리적 특성 ; 가로활성화 ; 부산시 Seaside Cafe Street ; Waterfront Commercial Street ; Physical Characteristics ; Vitalization of Street ; Busan City
요약1 활성화된 해변카페거리와 같은 도시상업가로는 단순한 상업용도의 공간이 아니라 시민들의 대표적 여가공간이자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장소의 역할을 하므로,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향후 가로조성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의 활성화된 해변카페거리의 물리적 특성을 고찰하여 향후 가로 특히 수변상업가로 조성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도시 부산의 대표적인 해변카페거리 3곳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가로현황과 가로형성과정 및 조성사업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물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례대상지의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변이라는 지역자산을 활용한 해변보행로 및 오픈스페이스를 조성하고 가로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의 이용과 조망에 활용되도록 하였다. 둘째, 건물파사드를 개방형으로 조성하고, 건물외부공간에 목재데크와 차양막을 설치하였으며, 조경공간을 활용하여 가로공간과의 연계를 높였다. 셋째, 가로조성에 있어서 가로공간을 하나의 단위로 생각하는 통합디자인차원에서의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요약2 Urban commercial streets such as vitalized seaside cafe streets are not only common commercial streets but also leisure space and vitalized place of the city, so we can take basic data for street mak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vitalized commercial streets with basic data for street design through a case study on vitalized seaside cafe streets. A series of analyses were conducted of existing physical condition of the cases of three famous seaside cafe streets in 'Marine-city', 'Gwangan-ri' and 'Dalmaji-gil' in Busan City, with the framework of 'street composition system', 'street space : traffic road, pedestrian walk, front space of the building, open space', 'street building', 'street furniture' and 'process & projects of street making'. The findings are: first, Seaside pedestrian walks, open spaces and street furnitures based on the local asset of seaside for people's use and view; second, street buildings connected to the street space through open facade, wood deck & awning of the building and planted open space; third, street-making by the cooperation of private sector and public sector for integrated design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fields. Such results suggest that we can applicate those findings to the street design for vitalized commercial stree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