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도시개발 및 재생의 수단으로 통합적 공공미술 추진 전략 연구/레이쳐 레인 비욘드 공공미술 프로젝트,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공공 미술 사례를 중심으로/The Coordinated Public Art Strateg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 Case Studies of Beyond Leidsche Rijn, Munster Sculpture Project and Chicago Millennium Park Public Art
저자명 조경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페이지 pp.89~104
ISSN 15980650
주제어 공공미술 ; 통합적 공공미술 추진 ; 레이쳐 레인 공공미술 프로젝트 ; 뮌스터 조각프로젝트 ;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Public Art ; Coordinated Public Art Promotion ; Beyond Leidsche Rijn ; Munster Sculpture Project ; Chicago Millennium Park
요약1 본 연구는 도시개발과 재생에 기여한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통합적 공공미술 추진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도시개발과 재생에 있어 공공미술은 효과적인 촉매제로서 활용되고 있다. 공공미술은 도시의 소프트한 자산으로서 장소에 활력을 부여하고 정체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시적 차원의 성공적인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어떻게 추진되었고, 그 효과는 어떠했는지, 그 조건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개발, 도시재생, 공공공간의 세 가지 차원에서 네델란드 유트레이트와 인접한 레이처 레인의 비욘드 공공미술프로젝트, 독일 뮌스터 조각프로젝트, 미국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의 사례를 다룬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각기 프로젝트의 차이는 있지만 도시 비전의 공유, 안정적인 큐레이팅 시스템, 주민과의 소통 등이 공통적인 특징이라는 점이 발견되었다. 무엇보다도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도시개발이나 디자인의 일환으로 통합 추진되고 있음이 중요한 점이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도시발전 전략이나 그리고 공공공간 활성화와 연계되어야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suggest coordinated public art strategies by examining successful public art project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As a soft asset, public art has increasingly advocat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for giving the identity and enhancing the vitality of place throughout the city-making process. However, there have scarcely been discussions of the planning process, effects of the projects, and premises of implement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ree urban-scale public art projects. There have been various diverse-scale innovative coordinated public art projects, such as new town, downtown regeneration, and urban public space. The specific case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Beyond Leidsche Rijn, Munster Sculpture Project, and Chicago Millennium Park. Through the analysis, several key characteristics of these projects have been elicited, including the urban vision shared by people, the consistent and secure curat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residents. This study shows how public art projects are related to urban strategies and design processes, as well as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