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문화상업가로 활성화 과정에서의 건축물 용도변화/서울시 가로수길을 대상으로/Transition of Building Uses in the Culture-based Vitalization of Commercial Streets - A Case Study of Garosu-gil, Seoul
저자명 이인성 ; 배재흠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5(통권 제59호)
페이지 pp.127~140
ISSN 15980650
주제어 문화상업가로 ; 자생적 활성화 ; 젠트리피케이션 ; 건축물 용도 Culture-based Commercial Street ; Self-Motivated Vitalization ; Gentrification ; Building Uses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의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문화상업가로의 자생적 활성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건축물 용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건축물관리대장을 이용하여 1980년~2012년 사이 가로수길의 건축물 용도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도별 건물 연면적과 분포 변화의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정성적으로 논의되던 문화기능 입지에 의한 상업가로 재활성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근린생활가로의 개발이 일단락된 1997년과 문화상업가로가 정착된 2008년의 상업시설(소매?음식점) 구성비는 거의 같은데, 이 시점의 상업시설 구성비가 저층부 상업용도의 자연스러운 평형상태로 생각된다. 최근 대형 상점의 침투와 이에 따른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가로수길의 장소성이 훼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위 상점의 규모에 대한 규제와 함께 상업시설의 구성비에 대한 총량적 제어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가로수길에서 문화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소규모 사무실들은 지속성 측면에서 중요한데, 이러한 문화클러스터는 가로수길 특유의 도시공간구조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해서 다양한 용도를 흡수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 형성이 긴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요약2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building uses in the culture-based vitalization process of a commercial street, Garosu-gil in Seoul. The changes in the floor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uilding uses between 1980 and 2012 were analysed using building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floor area of building uses provided a concrete understanding about the revitalization process of commercial streets combined with cultural factors which was only qualitatively address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commercial ratios(retails and restaurants) in 1997(when the community street was completed) and 2008(when the street was revitalized by cultural factors) were similar, and that can be considered as a natural equilibrium of commercial development in the street.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placeness due to rapid commercialization and succeeding high rents, control of commercial ratio as well as limitation of unit area of stores is necessary. The small offices which formed a unique cultural cluster in the area are important in terms of sustainability. The well-organized street network in the area seemed to work as a good foundation for the cluster. It implies that urban spatial structure which can absorb various building uses is an important factor for street vitalizat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