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창의적 연구환경을 위한 공용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기본계획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Common Use Space for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 Centered o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Park
저자명 김도년 ; 양성민 ; 김대성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3(통권 제57호)
페이지 pp.45~65
ISSN 15980650
주제어 공용공간 ; 커뮤니티 프로그램 ; 커뮤니티 코리도 ; 창의적 연구환경 Common Use Space ; Community Program ; Community Corridor ;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요약1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대상으로 과학자들간의 접촉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연구환경의 특성과 이에 따른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적용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환경에서 좋은 공용공간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구 활동시 소통환경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연구자들 간의 공감 공간으로서 창의적 연구활동이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계획방법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공용공간 계획방법은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 공용공간은 연구동에서 단지 중심으로 확장됨에 따라 위계화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성격, 기호, 규모에 맞게 공용공간과 복합화 되어야 한다. 세 번째 연구시설 저층부 공간은 실내외 공용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연계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지전체가 커뮤니티 코리도에 의해 연계되어야 한다.
요약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guidelines for common use space that provides a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i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IBS) in Daejeon, Korea. The criteria for common use space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creative in research environment are as follows: it attracts leading scientists, functions as a place for mee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allows cre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gathering of many cultures. This study offers 4 new approach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irst, common use space should consider its expans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site from architectural plan to site plan. Second, community programs should be design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ir goal, number of users, and common use space. Third, the ground floor area of buildings should be connected to both the community program and common use space. Lastly, all common use spaces and community programs in the site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mmunity Corridor to allow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entire site. By applying the new possibiliti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or a creative environment to the IBS, this study also provides a model for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