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중교통회랑이 녹색도시 구현에 미치는 영향/대중교통회랑 도입에 따른 안양시 교통·환경적 측면의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The Impacts of Transit-Oriented Corridors on Realizing the Green City - Focusing on Its Influences on Traffic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Anyang City
저자명 서민호 ; 김세용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1(통권 제49호)
페이지 pp.93~110
ISSN 15980650
주제어 대중교통회랑 ; 대중교통중심개발 ; 녹색도시 ; 접근성 ; 선택확률모형 Transit-Oriented Corridor(TOC) ; Transit-Oriented Development(TOD) ; Green City ; Accessibility ; Probabilistic Choice Model
요약1 이 연구는 도시공간구조와 대중교통체계, 토지이용 및 지구단위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중교통회랑 계획모델을 제시하고, 녹색도시 구현과 관련하여 교통·환경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대중교통회랑은 승용차 의존적 도시공간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노면형 대중교통노선 주변 400~600m 지역의 토지이용을 중·고밀도로 복합화하고 보행·자전거 친화적인 대중교통중심생활권을 회랑형으로 조성하는 도시·교통 통합개발이다. 안양시를 대상으로 약 9km의 노면형 대중교통체계 도입과 회랑축 반경 400m 권역의 복합용도개발 등을 병행하는 대중교통회랑 계획모델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양시에 대중교통회랑을 도입할 경우, 개발수준별 시나리오에 따라 대중교통분담률을 3.5~5.9% 증가시켜 연간 약 161,000~292,800 kl의 교통에너지 소비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연간 40.2~73.1 만톤의 CO2 배출량 감축과 연간 2,577~4,688 억원의 경제효과 유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urban spatial structure, mass transit systems, and land use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ning into a transit-oriented corridor (TOC) model in order to realize green cities. Expanding upo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the TOC further overcomes dependence on automobiles by incorporating various land uses within 400 to 600m of mass transit routes through planning mixed and middle to high density buildings, in addition to pedestrian and bike-friendly streets into a corridor. This study focuses on a 9km mass transit corridor passing through Anyang City, encompassing a region of 400m in order to test a parallel application of mixed-use development and the TOC plan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fter applying the model, ridership would increase from 3.5 to 5.9% and that energy consumed for transportation would decrease by 161,000 to 292,800 kl. Furthermore, the city would enjoy a reduction of CO2 emissions from 402 to 731 thousand tons along with an increase in economic activity of 2.2 to 3.9 billion USD.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