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서울거주민의 세대별 생활영역의 비교/정보·통신활동이 생활영역 확장에 미치는 영향의 고찰/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 Activities by Age Group in Seoul - Looking for Emerging Influence of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on the Growing City Form
저자명 한광야 ; 김혜린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페이지 pp.129~146
ISSN 15980650
주제어 정보·통신 ; 미래도시 ; 네이버후드 ; 대학 ; 지하철 IT ; Future City ; Neighborhood ; University ; Subway/Transit
요약1 본 연구는 최근 정보·통신활동의 확대에 따른 서울의 도시확장과 구조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거주민의 통근경로 입지분포와 주요 활동영역(쇼핑·구매, 친목·사교, 교육·문화)의 위계구조 및 중심부 변화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사용도가 상이한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로 (1)서울거주민의 통근경로는 지하철 노선체계를 따라 연장되고, (2)활동영역의 중심부가 주거지에서 직장/학교지와 환승역으로 이동하며, (3)활동영역 중심부 변화는 교육·문화 및 친목·사교 활동으로 주도되어 통근경로로부터 외곽으로 확산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사용이 상대적으로 많은 미혼 젊은세대가 주도하고 있다. 본 결과는 정보·통신활동의 확대사용으로 서울거주민의 생활영역이 보행권내 주거생활에서 직장/학교지 중심의 사회생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영역 확장을 주도하는 젊은세대는 역설적으로 지리적 자유로움이 적은 대중교통의 사용자이다. 따라서 정보·통신시대에서 직장/대학교와 지하철은 앞으로 서울의 확장방향과 활동거점을 결정하는 주요 계획체계임을 암시해 준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on the growth form of Seoul in recent years. It comparatively analyzes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mmuter paths and activity nodes (of Retail Shopping, Culture Education, and Social Gathering) of the two comparable IT users (age groups of 18-30 and of 30-50 respectively). The analyses indicate (1) extension of commuter path along subway line, (2) spatial orientation of activity nodes towards workplace/university and transfer hub over home, (3) centrifugal tendency of activity nodes from the commuter path. Such spatial dynamics are significantly determined by the activities of Culture Education and Social Gathering of the higher IT users. The results conclude the activity sphere is increasingly extended by workplace/university-based social network in a metropolitan setting, rather than home-based pedestrian neighborhood. Furthermore, their geographic orientation is driven by higher IT user of the youth whose locational freedom is paradoxically limited by available ridership of public transit. The findings imply the location of university/workplace with subway/transit system becomes an effective guiding framework for shaping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future metropolitan growth.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