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세대 간 장소 인식 비교연구/20대와 60대를 대상으로/A Study on Generation’s Perception Differences o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in Downtown Seoul - Focused on the Ages between Twenties and Sixties
저자명 박희락 ; 김기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페이지 pp.115~127
ISSN 15980650
주제어 서울 도심부 ; 장소 인식 ; 집단기억 ; 역사문화경관 Downtown Seoul ; Space Perception ; Collective Memory ; Historic Cultural Landscape
요약1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경관이 세대를 아우르는 매개체인 ‘집단기억’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대상지는 서울 도심부로서 서울의 정체성을 가장 확연히 드러낼 수 있는 곳을 선정하였으며, 2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적 기억으로 인해 세대 간 상이한 대표 장소 인식이 형성되었다. 경험적 기억은 대표 장소를 인식하는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방문 장소가 서로 다른 20대와 60대 간에는 서로 상이한 대표 장소 인식이 형성되었다. 둘째, 문화적 기억으로 인해 세대간 동일한 가치 장소 인식이 형성되었다. 20대와 60대 간 경험적 기억은 서로 다르지만,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적 기억에 의해 20대의 경우도 가치 장소에 대해서 역사문화경관을 떠올렸다. 가치 장소를 인식하는 데에는 문화적 기억이 영향을 미치므로 세대 간의 차이가 적다. 셋째, 역사문화경관은 집단기억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며, 집단기억은 20대와 60대를 통합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경험적 기억이 부족한 20대에게는 문화적 기억을 형성하는 것을 도와줌으로서 기억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 기억을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역사환경보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eration’s perception differences o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in downtown Seoul. Throug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historic cultural landscapes could contribute to forming collective memory among diverse generations. Downtown in Seoul is selected as a study area due to the representation of Seoul’s identity. People in 20s and 60s were surveyed. Findings resulting from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mmon recognition of the representative place is formed due to experiential memory. While experiential memory influences the recognition of representative places, recognition of different representative places is constructed between those in 20s and 60s who visited different places. Second, recognition of place of identical value is formed by reason of cultural memory. Although 20s and 60s has different experiential memories of visiting places, 20s also recollect a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bout place value owing to artificial cultural memory. Since cultural memories influence the recognition of place value, there is a small gap between generations. Third, historic cultural landscapes contribute to collective memories that work as a means to integrate 20s and 60s. Memories can be shared with 20s who lack experiential memories by helping them construct cultural memori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it is very crucial to conserving historical environments along with measures which contribute to creating collective memor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