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파리시 도시계획 제·개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 개념 확대와 도시계획적 관리수단의 변화/Expansion of the Historic-cultural Landscape Concept and Evolution of the Urban Planning Control on the Historic Conservation, as demonstrated in the Urban Planning History of Paris
저자명 임유경 ; 안건혁 ; 박소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페이지 pp.43~59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 역사문화경관 ; 보존 ; 도시 관리 ; 도시계획적 수단 Urban Historic-Cultural Landscape ; Conservation ; Urban Management ; Urban Planning Control
요약1 이 연구에서는 프랑스 파리시의 도시계획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 역사문화경관의 개념변화와 이를 보존·관리하는 도시계획적 수단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향후 도시 역사문화경관의 효율적인 보존·관리 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파리시 도시계획 변화 과정에서 도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개념은 공간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에서 점차 확대되었으며, 지역 정체성 형성의 근거, 지역민의 삶의 터전, 도시 진화과정의 한 단면으로 인식되고 있다. 확대된 의미에서의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랑스 도시계획 변화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과 정체성 형성의 근거가 되는 도시조직과 건축유형 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 제도적 수단이 다양화·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일상생활환경으로서의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보존하기 위해서 대상 선정 과정에서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보다 유연한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셋째,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도시 진화과정의 한 단면으로 인식하여 동결적 ‘보존’이 아닌 지속적인 ‘관리’ 방안을 강구해 왔으며, 역사적 가치 뿐 아니라 현실의 요구와 미래 발전방향을 동시에 고려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analyze evolution of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aris in relation to the shifting concepts of urban historic-cultural landscape. Development of the conservation system of Paris,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1960s, gives us some clues for establishing conservation planning principles. The notion of heritage has been broadened ; it embraces concepts ranging from the landmark to the urban area, from the great works of art to the modest works of everyday life, from the relics of historic value to the artifact of the present age. The objectives and the methods of the conservation planning have been transformed through the history ; Firstly, the conservation regulations have been further diversified and fragmented to safeguard the diversity and the identity of each urban entity. Secondly, selection of the historic site and application of the conservation principle tends to depend more on the local opinions. Finally, the aims of consevation are concerned more with the ‘urban management’ than with the strict ‘protection’ of the urban historic-cultural landscape. The broadened aims and the scope of the historic preservation would be better met when it is integrated in the urban planning disciplin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