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논문] 「성세자생도(盛世滋生圖)」에 묘사된 청대 소주(蘇州)의 공간구성적 특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Suzhou in ChingDynasty through Reading the Scroll Painting 「Shengshi zisheng tu」
저자명 손세관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페이지 pp.87~104
ISSN 15980650
주제어 성세자생도 ; 청대 ; 서양(徐揚) ; 중국 ; 소주 Shengshi zisheng tu ; Ching Dynasty ; Xu Yang ; China ; Suzhou
요약1 이 연구는 청대의 화가 서양(徐揚)이 18세기 중엽의 소주(蘇州)를 묘사한 그림「성세자생도(盛世滋生圖)」를 통해 당시의 공간구성적 특성과 시민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려 한 것이다. 이 그림에는 당시의 물리적 환경과 생활상들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18세기 중반의 소주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이 연구에서는「성세자생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되는 기술적(記述的) 문헌들을 함께 사용하여 당시의 도시 및 사회환경을 폭넓게 이해하고 분석하려고 하였으며, 또한 유사한 종류의 그림들을 살펴보면서 ‘비교와 보완’이라는 측면에서 그림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대의 소주는 질서와 역동성이 공존하고, 다양성 속에서 조화가 달성되며, 경관상의 변화와 풍요로움이 있는 도시였다. 둘째, 소주의 경관적 풍요로움은 도시의 크고 작은 수로들과 그 주변의 여러 다양한 공간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수로들은 그 복합적인 기능과 함께 도시에 시각적인 변화와 활력을 공급한다. 셋째, 소주는 성격이 다른 여러 중심이 공존하는 다양성의 도시로서, 크고 작은 독자적 장소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도시의 특이한 상(像)을 형성한다. 넷째, 도시의 여러공간들은 그 형태가 유연하고 기능이 복합적이어서, 환경의 성격은 다채롭게 변화하면서 여러 가지 인간의 행위를 지지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강하다.
요약2 This study focuses on reading the urban scenes of Suzhou, China from the scroll painting「Shengshi zisheng tu」drawn by Xu Yang in 1759. In the painting, the essence of urban lifewas vividly depicted through the overlays of orchestrated events. Therefore, examining thepainting is most revealing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urban lives of Suzhou in the eighteenthcentury. The painting had manifested the Chinese attitude towards urban life and the idea ofthe city. This study decoded and interpreted the images on the painting with reference to thesurveyed cartographic records of the same period. Suzhou, as interpreted through thepainting, was a city of outstanding urban values and intrinsic orders. First, Suzhou was aplace of order and dynamics, of harmony and variety. Second, Suzhou, as a canal city with it'svarious types of waterways and their related spaces, produced opulent prospects with multiplelayers of meanings and human activities. Third, the prosperity of the city was anchored to thecollective memory about various places scattered around the whole city. Fourth, spaces in thecity, with their pliable forms and functional complexities, positively afforded various modesof human activ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