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논문]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Effect of Factors on the Use of Private-owned Pocket Parks
저자명 장하리 ; 이인성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페이지 pp.47~60
ISSN 15980650
주제어 공개공지 ; 지구단위계획 ; 이용자 분석 Private-owned Pocket Parks ; District Plan ; User Analysis
요약1 공개공지는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공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구단위계획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수단을 통해 공개공지의 조성을 장려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개공지 조성에 따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공지의 계획요소가 이용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설계에 있어서 공개공지 조성지침 수립과 적정 인센티브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개공지의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심미성, 관리성 등에 관련되는 20개의 계획요소를 추출하고 서울시 테헤란로 주변의 중심 업무지구에 위치한 23개 공개공지를 대상으로 이들 계획요소와 이용자를 조사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공개공지 이용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공개공지의 이용도는 이용대상 모집단의 크기(건물이용자: 연면적, 외부이용자: 보행인원 및 지하철역과의 거리)와 관계가 있으며, 외부인의 공개공지 이용에는 시각적 인지성(측면차폐율)과 이용편의성(벤치, 바닥평탄도, 녹지율)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건물이용자에게는 접근성(공개공지 위치)이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공개공지 이용인원의 약 70%는 건물내부의 이용자였는데, 이는 공개공지의 공공 이용의 효과가 그리 높지 않음을 보여준다. 앞으로 공개공지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외부인의 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시각적인 지성과 이용편의성 등이 중요하며, 지구단위계획의 공개공지 지침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2 Private-owned pocket parks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 InKorea, various institutional systems promote private-owned pocket parks, but most private-owned pocket parks are criticized that they are not effectively used by the public. This study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use and the design elements of private-ownedpocket parks to provide a logical basis to establish proper design guidelines and incentivesystem for the private-owned pocket parks. Twenty elements regarding accessibility,openness, convenience, esthetics, and maintenance are defined, and 23 private-owned pocketparks at Teheran Street in Seoul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Regression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lume of user population(residentusers: building size, outside users: pedestrian volume and distance to subway) was animportant factor. In addition, visual openness and convenience(bench, slope, green area) werealso important for the outsiders, and accessibility(location) was important for the users frombuildings of immediate vicinity. Almost 70% of the total users were inside users, and thisdemonstrated that the public effect of the private-owned pocket parks was not satisfactory. Inorder to enhance the publicness of private-owned pocket parks, it is important to developdetailed urban design guidelines about the elements related to the use of outsiders such asvisual openness and convenience factor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