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논문] 공간문화행태로서의 도심형 신레포츠를 위한 공간설계 연구/거리문화행태로서의 공간이용특성 파악을 중심으로/Designing for New Leports Activities in the Inner City Areas
저자명 김주일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페이지 pp.33~46
ISSN 15980650
주제어 신레포츠 ; 도심 ; 스케이트보드 ; 공간행태 ; 도시문화 ; 거리문화 Leports ; City Center ; B3 ; Skateboarding ; BMX ; Behavior ; Urban Culture ; Street Culture
요약1 공간설계가들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공간문화행태들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여야 하며, 도시공간속에서 이들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지고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꾸어 나가야 한다. 이른바 ‘도심형 신레포츠’는 비교적 최근에 도심공간속에 발생하여 독특한 공간 활용 방식과 행태상의 특징을 보이는 공간문화행태이나, 그 확산도에 비해 아직 그 공간적·행태적 특징과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는 미미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신레포츠 중심지인 ‘스팟’들의 입지적 특징과 그 활용방식, 그 공간구성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용자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공간문화행태로서 도심형 신레포츠의 특성을 파악하려 하였다. 도심형 신레포츠는 ‘비공식성’을 그 본질로 하는 공간문화행태로, 공간의 변용에 따르는 여러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나 한편으로 도시경관과 거리문화를 풍성하게 하고 버려진 도심공간을 재활용하는 등 여러 긍정적인 측면을 함께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그 긍정적인 측면들이 도시가운데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공간설계 방향의 모색을 모색해보았다.
요약2 Urban designers should be dealing with various spatio-cultural behaviors and be sensitiveto the trends. They must be eager to find the way to accommodate various spatio-culturalbehaviors into the cities effectively and harmonically. So called ‘Inner-City New Leports(leisure-sports)’, having occurred in the central areas of the city, is an unique activities withrespect to the use of urban space and its’ behavioral features, but it has not been yetunderstood appropriately as to its’ spatial·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nurban spa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ots’ particularly in view of their location inthe city and the practical use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m. We also investigated theopinions of New Leports players to find their aims and views about their activities. In spite ofsome problems and limits originating from its’ informality and underground feature, NewLeports has some important positive effects in that it can enrich the cityscape, nourish streetculture and give new vitality to some lost urban spaces. As a result of these investigations,some suggestions were sought and proposed as a way to accommodate the positiveness andmerits of this new urban behavior and to make the city culturally a more viable plac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