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집

원문다운로드
논문명 노인주거 복지시설의 실내환경 실태조사/한국과 미국 14사례 실태분석 및 설문조사 중심으로/The case studies on the interiors of the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저자명 김하영 ; 천진희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 6권 1호
페이지 시작페이지(100) 총페이지(6)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노인주거복지시설 ; 실내환경 ; 설문조사 ; 현장분석
요약1 경제성장과 평균수명의 연장 등으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비중은 80년의 3.9%에서 90년 5.2%, 2000년 현재 7.3%로 높아졌으며, 이러한 추세를 감안한다면 2020년에는 13.2%로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95년에 비하여 3세대 이상 가구는 8.8% 이상 크게 감소하고 1세대 가구는 5.4%, 혼자 사는 노인가구는 2.9% 증가하여 노인독신가구나 노인 부부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와 같은 고령인구의 변화와 소득수준의 향상, 국민의식의 변화 등으로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노인들을 위한 독립적 주거형태의 노인주거복지시설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시설들의 공간 구성 및 기능, 심미적 측면이 선진국에 비해 낙후한 실정이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경우 그 대상이 노인이므로 주거환경 계획 시 저하된 신체 제 기능을 충분히 보완하고 심리적, 사회적 제 요구에 부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디자인적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실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로 일반노인들의 시설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함으로써 노인에게 바람직한 시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약2 Recently, the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increasing due to the facts, such as rapid increasing ratio of old people, rising incomes and the changing concepts towards family relationship. For the elderly,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how environment can incorporate design concepts which enhance accessibility and adaptability. For this survey each seven cases in Korean & American facilities were examined and also 120 copies of a questionnaire for the elderly who are above 60 were analysed.
This survey revealed that; 1. The consciousness of the majority elderly was favorably aware of the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by a social phenomenon. 2. At a response of the scale for the living unit, majority subjects preferred to live in size of 16~20 pyung. 3. Subjects preferred not only clean and modern atmosphere, but also medical area and fitness room, design considerations for these points are needed. 4. Enough spaces for their hobbies and social activitie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smooth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remedy effect for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in the facilities for the elderly. 5.Korean facilities were lack of accessibility, safety and adaptability,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suitable materials for the safety and lighting plans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qualitie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